이것도 직업병의 일종일까... 그동안 프로그래밍과 관련된 일을 하면서 소위 프로그래밍/컴퓨터의 대가라는 사람들은 어떤 삶을 혹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지 궁금한 적이 많이 있었다. 그러던 중 앨런 튜링에 관한 전기인 '너무 많이 알았던 사람'을 선택하게 되었다. 책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저자는 튜링을 시대를 잘못 만난 천재로 생각하는 것 같다.
컴퓨터가 처음 태동하던 시기에 수학자이면서 논리학으로 심취해있던 튜링은 자신의 독특한 시각으로 '계산 가능한 수' 라는 영역을 기계의 원리를 통해 증명해낸 사람이다. 독특한 시각이라고 말한 이유는 앨런 튜링은 천재들의 성격으로 나타나는 다른 사람의 의견을 배제한 채 오로지 자신만의 생각과 접근법을 사용해서 이를 증명한다.
'계산 가능한 수'는 이 당시 논리학이라는 개념을 수학적인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논리학적으로 표현이 가능하다면 수식으로 표현함을 가능하며 이는 결국 결정론적인 문제로 귀결됨을 의미한다. 우리가 보통 알고리즘이라고 부르는 것은 한정된 순서와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해당 문제가 논리적인 모순이 아닌 한 분명 이를 풀기 위한 알고리즘을 가지게 되며, 이는 결국 결정가능한 문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어떠한 문제가 결정가능한지를 증명하려면 그 문제가 모순을 가지고 있지 않음을 증명하는 것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사실, 일반적인 사람들에게는 이 논리학이라는 것이 단순한 말장난인 것처럼 보이는 것도 그 말뒤에 내포된 의미를 같이 떠올리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게다가 이를 수식과 연결을 짓게 되면 이는 더 복잡한 영역이 생기게 되며 이를 다시 기계에 이를 응용하는 단계까지 가서는 결국 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영역이 얼마나 보잘 것 없는지를 생각하게 된다.
튜링은 이러한 '수리논리학'이라는 지식을 가지고, 2차 세계대전 중에 연합군측에 소속하여 독일군이 만든 에니그마라는 암호기로 만들어진 암호를 푸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튜링은 이 암호를 푸는 아주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는데, 그는 '기계로 만들어진 문제는 결국 기계로 풀어야 된다'라는 가정으로 이 문제를 접근하게 된다. 결과론적으로 연합군은 독일을 물리치게 되는데, 이 튜링의 역할은 가시적으로는 보이지는 않았지만, 그의 공로는 실로 큰 업적이라는 평가를 후대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하게 된다. 타임지가 20세기의 위대한 인물 20인 중에 그를 선정했다는 것으로만 보아도 이를 증명하며, 컴퓨터 업계의 노벨상이라고 하는 튜링상 역시 그의 위대한 업적을 기리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후대에 이와같이 높게 평가된 그의 업적과는 별도로 당시의 튜링에 대한 평가는 그리 알려지지도 않고 주목받지도 못했었다. 특히, 다른 사람과 교류를 잘 하지 못하는 그의 성격과 동성애는 튜링이 시대를 잘못 타고났다는 생각을 하기에 충분하다. 결국, 그는 동성애로 인해 법위반으로 체포되어 화학적인 거세라는 처벌을 받게 된다. 이 시기의 튜링에 대한 기록은 세부적으로 나타나있지 않지만, 그가 자살을 선택했다는 결과만으로도 얼마나 이를 고통스럽게 생각하고 있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그의 컴퓨터에 대한 계산하는 기계에 대한 생각은 기계를 어린 아이로 취급하여 교육을 통해서 서서히 학습이 되는 것으로 생각했었는데, 이러한 논리는 기계에 대한 관대함을 얘기하는 그의 말에서도 느낄 수 있다. '우리는 사람이 잘못 계산하거나 실수를 하면 다시 이를 수행하게 하는데, 기계에 대해서는 그렇지 못하다. 기계는 한정된 내용으로 한정된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 좀 더 관대해질 필요가 있다' 그의 말은 컴퓨터 역시 실수라는 것이 인정되어야 하며 이는 사람이 실수하는 것과 같은 선상에서 이를 이해해야 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는데, 사실 이러한 말은 너무나 인간적이라 이러한 잣대를 기계에게 역시 적용하는 것이 맞을까라는 의구심을 갖게할 만큼 급진적인 것이 사실이지만, 역으로 생각해보면 얼마나 우리가 기계에 의존적이 되었는지를 말해주는 반증이 아닐까 생각된다. 아무튼 어찌 보면 지금의 시대는 불과 50 ~ 60 년 전의 컴퓨터의 아버지들이 보기에는 어찌보면 그 시대보다도 더 불편한 것들이 더 많아진 시대일지도 모른다.


posted by Elvis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